‘리콜 규정’으로 불리는 자민당 당칙(제6조4항)에 따르면 소속 의원(295명), 광역지자체 지부 대표자(47명) 등 총 342명 가운데 반수(172명) 이상이 찬성하면 총재 선거를 앞당겨 치를 수 있다. 조기 선거를 요구하는 의원 이름은 집계 후 공표된다.
지난 7월 참의원(상원) 선거 참패 후 최근 일본 언론의 여론 조사에서 이시바 정권 지지율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기명’ 요구는 의원들에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 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이시바 끌어내리기’에 찬성한 의원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 탓에 자민당 의원을 대상으로 한 아사히 조사에선 찬반 여부를 밝히지 않은 의원이 다수(225명)를 차지했다.
아사히는 무응답을 선택한 의원들이 대다수를 이룬 배경으로 이시바 정권의 지지율 상승을 꼽았다. “그만둘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많다는 점도 드러내 (총재 선거를) 앞당겨 달라고 요구하는 데 대한 거부감을 낳고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 이번 조사에서 조기 총재 선거가 필요하다고 답한 의원은 40명으로, 초선의원(5명)을 제외한 35명 가운데 34명이 파벌 출신 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자민당은 참의원 선거 참패 원인에 대해 이시바 총리의 ‘개인 책임’을 강조하지 않고 자민당 전체 책임이라는 방향으로 선거 총괄 보고서 조정에 들어갔다.
선거 책임은 “이시바 총리가 퇴진해야 한다”는 자민당 보수파의 주장의 주요 근거다. 자민당 총재의 책임보다 2만엔(약 18만원) 현금 지급 등 자민당이 내건 정책이 “유권자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방향으로 정리되고 있다는 것이다.
자민당은 이날 총괄위원회를 열고 보고서 초안을 제시한 뒤, 다음달 2일 개최되는 의원 총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교도통신은 “총리 개인보다 모리야마 히로시(森山裕) 간사장을 포함한 집행부 전체 책임에 중점을 두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자민당은 참패 원인을 20쪽에 달하는 분량으로 분석했는데, 초안에는 공감대를 얻지 못했던 2만엔 현금 지급안은 물론 자민당 아베파 해체로 연결됐던 정치자금 스캔들, 노토 지진에 대한 참의원 예산위원장의 실언 등
이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모두의 책임”이라는 초기 구상이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자민당 보수파를 중심으로 총리 책임론 목소리가 강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내용이 의원 총회 때까지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자민당 총재 선거관리위원회가 조기 선거 찬반 조사에 들어가기로 하면서 사실상 ‘이시바 끌어내리기’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총리는 전날 저녁 삿포로시의 한 강연에서 이시바 총리의 거취 문제에 대해 “가능한 빠른 타이밍에 매듭을 짓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이시바 총리를 향한 국민 지지율이 강고하여 보수파의 시도가 성공할지는 미지수이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일정상회담과 미일관세협상 타결, 고이즈미 신지로 농상대신 중심의 쌀 파동 수습 등의 성과와 참정당과 자민당 보수파의 움직임을 경계하는 저민당 지지층과 자민당 외 일반 국민층의 이시바 총리 사퇴/교체 반대가 70%를 넘는 상황에서 선거의 향배가 어디로 향할 지는 쉽게 가늠이 되지 않고 있다.
---------
시바루 형님 버텨주십쇼